강성노조에 의한 대한민국 법치 훼손 사례는 수를 헤아릴 수가 없이 많다. 언론방송에도 이미 흔하게 보도되어 왔기에 이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. 많은 국민이 우려하는 바는 공권력 조차도 강성노조를 제대로 규율하지 못하는 사태가 일상화 되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. 국민들은 점차 세를 불려가는 강성노조에 대하여 불안을 느끼다 못해 이제는 이들을 해체하여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확산되고 있다. 헌법상 기본권인 노동3권 그 연원과 내용 그리고 자유민주법치국가에서 바람직한 사용자와 근로자의 존재의의와 역할을 연구한다. 우리사회에 이순신 장군같은 CEO만 있다면 과연 노조가 필요할까? 투쟁이냐! 사랑이냐! 노조관련 연구를 통하여 우리사회에 노사관계의 새로운 정립이 필요한 때이다.
번호 | 제목 | 등록일 | 조회수 |
---|---|---|---|
이순임 前MBC 공정노조위원장, 정직 무효·급여지급 소송서 MBC에 승소 | 2023-12-31 | 128 | |
"청와대 마비 준비하라" 민노총 간첩단과 북한 지령 | 2023-06-20 | 123 | |
화물연대의 진실과 尹 대통령의 대처 - 김학성 교수 | 2022-12-27 | 201 | |
[이철영 칼럼] "노조가 죽어야 청년이 산다" | 2022-12-26 | 192 | |
[류근일 칼럼] "법 위에 민노총, 민노총 위에 RO(혁명조직), 그 위에 또 무엇 있나?" | 2022-12-07 | 174 | |
한국노총 전국건설산업노조 "윤석열 후보 지지선언" | 2022-03-25 | 216 | |
근로자와 기업의 상생은 국민노조에서 시작된다! | 2021-07-11 | 201 | |
국민노조 홈페이지 & 유튜브 | 2021-04-21 | 305 | |
3 | “투쟁 말만 봐도 토 나와” 노조 갑질 반기든 현대차 MZ 세대 | 2021-04-05 | 290 |
2 | 김선동 국민의힘(전)사무총장 특강/7차 국민노동조합 중앙집행위원 | 2020-11-14 | 300 |
1 | 민노총의 귀족노조, 그 실태와 대안 - 시국특별대토론회 (2019. 6. 20.) 영상 및 자료 | 2019-08-11 | 451 |